청년농업인의 꿈 키우는 '제주 임대형 스마트팜' 본격 조성

한국농어촌공사와 업무협약... 2027년까지 애월읍에 4헥타르 규모 첨단 온실 구축

청년 농업인들의 진입장벽 낮추고 제주 농업 경쟁력이 강화되어 농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들이 첨단 농업에 도전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4일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와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사업을 위한 242억원 규모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도면

이 사업의 핵심은 청년들이 농업을 시작할 때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하는 초기 시설투자 부담을 해소하는 데 있다.

제주도가 직접 스마트팜을 조성한 후 청년농업인에게 합리적인 임대료로 제공함으로써, 미래 농업인재들이 최신 기술을 습득하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주도는 지난해 농축산식품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이후, 올해 초부터 사업 준비에 박차를 가해왔다. 3월에는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T/F)을 출범시켜 온실 배치와 교육 프로그램 등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했으며, 지난달 농식품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번 협약으로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가 사업 시행을 맡아 2027년 말까지 애월읍 봉성리 농산물원종장 부지에 4헥타르(약 1만 2천평) 규모의 첨단 스마트팜을 조성한다.

242억 원(국비 140억원, 도비 102억원)이 투입되는 이 시설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공기열 냉·난방 시스템을 갖춰 운영비 절감과 친환경 농업 실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설계 과정에서 자문단을 구성해 현장의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시행계획에 반영함으로써 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스마트팜이 완공되면 도내 청년농업인들은 3년간 이 시설을 임대받아 쌈채류, 딸기 등 고부가가치 작물을 재배하며 첨단농업 역량을 키울 수 있다.

더불어 제주도 농업기술원이 ‘(가칭)제주 스마트팜 교육센터’를 설립하여 기술지원과 체계적인 교육까지 받을 수 있어, 미래 농업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제주 농업의 스마트 전환을 본격화하고, 청년농의 안정적 영농 기반을 지원할 수 있는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공공이 주도하는 스마트팜 인프라를 통해 제주 농업의 새로운 장을 열고, 청년들이 꿈을 펼칠 수 있는 희망의 농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